"적공지탑불휴(積功之塔不隳)" 고사성어는 각 글자별로 다음과 같은 뜻과 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1. 積(적): 쌓다. 이 글자의 발음은 '적'입니다. 여러 것을 위에 올려 놓아 높이 만들거나, 시간이나 노력 등을 오랜 기간 동안 축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功(공) : 공적, 업적. 이 글자의 발음은 '공'입니다. 어떤 일을 해내어 이룬 결과나 그 과정에서 보여진 노력을 가리킵니다.
3. 之(지): '~의', 소유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 이 글자의 발음은 '지'입니다. 주로 두 명사 사이에 쓰여 앞의 명사가 뒤의 명사에 속함을 나타냅니다.
4. 塔(탑) : 탑. 이 글자의 발음은 '탑'입니다. 높이 쌓아 올린 건축물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노력과 공적을 쌓아 올린 것을 비유적으로 탑에 비유합니다.
5. 不(불) : 아니다. 이 글자의 발음은 '불'입니다. 부정을 나타내는 말로, '하지 않는다', '아니다'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6. 隳(휴) : 무너지다, 허물다. 이 글자의 발음은 '휴'입니다. 구조물이나 어떤 형태가 붕괴되거나 사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적공지탑불휴(積功之塔不隳)"는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쌓아 올린 공적의 탑은 무너지지 않는다"는 의미로, 오랜 시간 동안 노력하고 쌓아 올린 공로나 업적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적공지탑불휴(積功之塔不隳)"는 한자 그대로 번역하면 "쌓아 올린 공적의 탑은 무너지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오랜 시간 동안 노력하고 쌓아 올린 공로나 성과는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여기서 '적(積)'은 쌓다, '공(功)'은 공적이나 업적, '탑(塔)'은 높이 쌓은 구조물, '불(不)'은 아니다, '휴(隳)'는 무너지다를 의미합니다.
이 말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해요. 즉, 일시적인 성공이 아닌, 꾸준한 노력과 시간을 들여 이룬 성취는 견고하고 오래 지속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성적을 얻거나, 오랜 기간 동안 성실하게 일하여 인정받는 것과 같이, 이러한 노력과 성과는 한순간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쌓아 올린 '탑'은 쉽게 무너지지 않아, 오랫동안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됩니다.
이 고사성어는 우리에게 인내와 끈기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며, 단기간의 성공보다는 장기적인 목표와 꾸준한 노력을 통한 성취를 추구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어린이에게는 꾸준히 공부하고 노력하는 습관의 중요성을, 성인에게는 일과 인생에서의 지속적인 노력의 가치를, 노인에게는 오랜 삶의 경험과 지혜가 소중하게 여겨지는 이유를 알려주는 교훈이 되죠.
'1일1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안제미(擧案齊眉) / 손에 든 밥상을 눈썹에 이르게 들다 (1) | 2024.04.02 |
---|---|
감탄고토(甘呑苦吐) / 달콤한 것은 삼키고 쓴 것은 뱉는다 (0) | 2024.04.01 |
갈이천정 (渴而穿井) / 목마르고 나서 우물을 파다' (0) | 2024.03.29 |
각골난망(刻骨難忘) / 뼈에 새겨서 잊기 어렵다 (0) | 2024.03.28 |
[1일1사자성어] 입현무방(立賢無方) / 어진 사람을 등용하는 데에는 정해진 방법이 없다 (0)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