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글자별 뜻과 음
- 捲(권) : 말다, 펼치다. 음은 '권'입니다.
- 土(토) : 흙, 땅. 음은 '토'입니다.
- 重(중) : 무겁다, 다시. 음은 '중'입니다.
- 來(래) : 오다. 음은 '래'입니다.
2. 고사성어에 대한 설명
"권토중래(捲土重來)"는 어떤 일에 실패한 후 힘을 모아 다시 도전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말 그대로 '흙을 말아 다시 온다'는 뜻으로, 실패 후에 포기하지 않고 새로운 각오로 다시 시작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 고사성어의 유래는 중국의 역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고대 중국에서 군대가 전투에서 패배한 후, 흙을 말아(퇴각하는 군대의 모습을 의미) 다시 준비하고 복수를 위해 돌아온다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는 어려움과 실패에 굴복하지 않고 새로운 힘과 전략을 가지고 다시 도전하는 불굴의 의지를 상징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권토중래"는 비즈니스, 학업, 개인 목표 달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업에서 큰 손실을 경험한 기업이 시장 조사와 내부 개선을 통해 다시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는 경우, 또는 시험에서 실패한 학생이 추가적인 학습과 준비를 통해 다시 시험에 도전하여 성공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이 고사성어는 포기하지 않고 끈기 있게 노력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생의 어려운 순간에도 희망을 잃지 않고 도전을 계속하는 태도를 상기시킵니다.
728x90
반응형
'1일1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우일모(九牛一毛) / 하찮은 존재, 많은 수 가운데 가장 적은 수에 비유해서 이르는 말 (1) | 2024.04.16 |
---|---|
근묵자흑(近墨者黑) / 검은 먹을 가까이 하면 검어진다 (0) | 2024.04.15 |
교왕과정(矯枉過正) / 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오히려 지나치게 해서 반대로 굽게 만드는 상황 (0) | 2024.04.11 |
공평무사(公平無私) / 모든 사람을 공정하게 대하며,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사리사욕을 버린 상태 (0) | 2024.04.09 |
견토지쟁(犬兎之爭) / 개와 토끼의 싸움 (1) | 2024.04.08 |